미야모토 유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야모토 유지는 일본의 외교관으로, 교토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입성하여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유엔 일본정부대표부 1등 서기관, 주중화인민공화국 일본대사관 1등 서기관, 주미얀마 특명전권대사, 주중화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 등을 거쳤으며, 2010년 퇴임 후 일본일중관계학회 회장, 외무성 고문, 일중우호회관 부회장 등을 맡았다. 그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문제에 대한 제재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으며, 저서로 《이제부터 중국과 어떻게 교류할 것인가》 등이 있다. 2020년에는 서보 중광장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보중광장 수훈자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서보중광장 수훈자 - 이즈카 고조
도쿄대학교 공학박사 출신인 이즈카 고조는 측정학자이자 기업 경영인으로 산업기술종합연구소 소장, 쿠보타 사장, 국제측정연맹 회장을 역임하며 측정 기술 개발과 표준화에 기여했으나, 2019년 교통사고를 일으켜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일본 대사 - 니와 우이치로
니와 우이치로는 이토추 상사의 사장과 회장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일본 대사를 지냈으며, 센카쿠 열도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비판하고 여러 저서를 출간했다. -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일본 대사 - 나카에 요스케
나카에 요스케는 1922년 오사카 출생으로 교토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입성하여 프랑스, 브라질, 유엔 등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아시아 국장, 중화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한 일본의 외교관이다.
미야모토 유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야모토 유지 |
원어명 | 宮本 雄二 |
로마자 표기 | Miyamoto Yūji |
국적 | 일본 |
출생일 | 1946년 7월 3일 |
직업 | 외교관 |
소속 | 미야모토 아시아 연구소 |
경력 | |
주요 경력 | 외무대신 비서관 외무성 군축 관리 및 과학심의관 주미얀마 특명전권대사 주중화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 |
2. 생애 및 경력
미야모토 유지는 후쿠오카현 출신으로, 교토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가 외교관으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초기 생애, 외교관 경력, 퇴임 이후의 활동은 각각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2. 1. 초기 생애
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 출신으로 후쿠오카 현립 슈유칸 고등학교[1]를 거쳐 교토 대학 법학부에 진학했다.[8] 1968년 대학 재학 중 외교관 채용 시험에 합격했고, 이듬해인 1969년 교토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갔다.[3] 야치 쇼타로, 다나카 히토시 등이 외무성 동기이다.2. 2. 외교관 경력
후쿠오카현 출신으로 교토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1969년 외무성에 들어갔다.[8]1970년대 후반부터 유엔 일본정부대표부, 주중화인민공화국 일본대사관 등에서 근무했다. 1980년대에는 외무성에서 소련, 군축, 외무대신 비서관, 정보조사, 중국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1991년에는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1994년 애틀랜타 총영사를 역임했다. 1997년에는 주중화인민공화국 일본대사관 특명전권공사로 발탁되었다.
2001년 외무성 군축 관리 및 과학심의관(대사), 2002년 주미얀마 특명전권대사를 거쳐 2004년 오키나와 담당 대사를 역임했다. 2006년에는 주중화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었으며, 이는 아나미 고레시게와 같은 '차이나 스쿨' 출신으로, 베이징 부임은 세 번째였다.
주중 대사 재임 중, 신화통신사의 전직 외사국장이 국가기밀누설 혐의로 체포되면서 미야모토 대사가 취임 후 약 300만엔의 현금을 직접 전달했다는 증언이 보도되었다. 일본대사관 측은 “재판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없다”라고 밝혔다.[9]
2010년 정년 퇴직[10] 후, 일본일중관계학회 회장, 외무성 고문, 일중우호회관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다음은 미야모토 유지가 역임한 주요 직책들이다.
연도 | 직책 |
---|---|
1968년 | 외무공무원 채용 시험 합격 |
1969년 | 교토 대학 법학부 졸업, 외무성 입성 |
1978년 | 유엔 일본정부대표부 1등 서기관 |
1981년 | 주중화인민공화국 일본대사관 1등 서기관 |
1983년 | 외무성 구아국 소비에트 연방과 수석 사무관 |
1985년 | 외무성 유엔국 군축과장 |
1987년 | 대신관방 외무대신 비서관 |
1989년 | 외무성 정보조사국 기획과장 |
1990년 | 외무성 아시아국 중국과장 |
1991년 |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 연구원 |
1992년 | 외무성 연수소 부소장 |
1994년 | 애틀랜타 총영사 |
1997년 | 주중화인민공화국 일본대사관 특명전권공사 |
2001년 | 외무성 군축 관리 및 과학심의관(대사) |
2002년 | 주미얀마 특명전권대사 |
2004년 | 오키나와 담당 대사(특명 전권 대사) |
2006년 | 주중화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 |
2010년 | 정년 퇴임 |
2010년 | 일본일중관계학회 회장(현재) |
2010년 | 외무성 고문( ~ 2011년 3월) |
2011년 | 미야모토 아시아 연구소 대표(현재) |
2012년 | 공익재단법인 일중우호회관 부회장(현재) |
2. 3. 퇴임 이후
2010년에 정년 퇴직했고,[10] 같은 해 10월 일본일중관계학회 회장, 2010년 12월 외무성 고문을 맡았다. 2012년 5월에는 공익재단법인 일중 우호 회관 부회장이 되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경력을 가지고 있다.연도 | 내용 |
---|---|
2011년 7월 | 미야모토 아시아 연구소 대표(현재) |
2020년 11월 | 서보 중광장 수훈[7] |
2021년 4월 27일 | 아사히 신문 디지털에서,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 문제에 대한 제재는 "효과는 거의 없을 것이다. 중국과 협의를 해야 한다"는 지론을 펼쳤다. |
2024년 6월 | 공익 재단법인일중우호회관 회장 |
기타 |
미야모토 유지는 아사히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에 대해 "중국 측은 일본이 계획적으로 사건을 일으켜 국내법을 처음으로 적용함으로써 실효 지배를 강화하려 한다고 받아들인 것은 아닐까"라고 언급했다.[11] 2021년에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문제에 대한 제재에 대해 "효과가 거의 없을 것이다. 중국과는 대화를 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3. 주요 활동 및 관점
3. 1. 한반도 문제에 대한 입장
미야모토 유지는 2012년 7월 7일 아사히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에 대해 "중국 측은 일본이 계획적으로 사건을 일으켜 국내법을 처음으로 적용함으로써 실효 지배를 강화하려 한다고 받아들인 것은 아닐까"라고 언급했다.[11]
2021년 4월 27일, 아사히 신문 인터넷판에서 그는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문제에 대한 제재에 대해 "효과가 거의 없을 것이다. 중국과는 대화를 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4. 저서
- 《이제부터 중국과 어떻게 지낼 것인가(これから、中国とどう付き合うか일본어)》(니혼케이자이 신문 출판사, 2011년)
- 《격변: 미얀마를 읽고 해석하다(激変 ミャンマーを読み解く일본어)》(도쿄 서적, 2012년)
- 《시진핑의 중국(習近平の中国일본어)》(신초 신쇼, 2015년)
- 《강경한 외교를 반성하는 중국(強硬外交を反省する中国일본어)》(PHP 신서, 2017년)
- 《중일의 실패의 본질》 (주오코론 신서 라클레, 2019년)
- 《2035년의 중국 시진핑 노선은 살아남을 것인가》(신초 신서, 2023년)
5. 수상
참조
[1]
웹사이트
【提言委員座談会】激動の時代 共生に価値
https://www.nishinip[...]
2024-11-06
[2]
웹사이트
東京修猷会 第569回二木会(2010年10月14日(木))
http://shuyu.gr.jp/t[...]
[3]
웹사이트
宮本雄二|執筆者プロフィール
https://www.fsight.j[...]
신潮社
2024-11-06
[4]
웹사이트
中国において国家機密漏洩の罪に問われた人物に対する駐中国大使の関与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4-11-06
[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6]
서적
日中の失敗の本質
中央公論新社
2019
[7]
간행물
官報号外第230号
2020-11-04
[8]
웹사이트
東京修猷会 第569回二木会(2010年10月14日(木))
http://shuyu.gr.jp/t[...]
[9]
뉴스
韓-日 외교관 정보수집, 외교문제 비화 우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9-05-15
[10]
서적
日中の失敗の本質
주오코론신샤
2019
[11]
기타
[12]
간행물
관보》 호외 제230호
2020-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